나는 몇 년 전부터 여성들의 여러 종류의 ‘이동’과 ‘신체감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건 아마도 나 스스로가 여성이자 이주자이고, 지금도 서울의 외지인으로 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여성들이 왜 이동을 결심하는지, 이동 과정 중에 어떠한 감각과 변화를 느끼는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어졌다. 이동성(mobility)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나는 여성주의 연구에서 공간적 사유를 확장할 필요성을 체감했다. 또한 이동성을 사유함에 있어 기존의 질문과는 조금 다른 질문을 던질 필요성을 느꼈다.

짧은 예시를 통해 이 글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공간 연구자들이 여성주의를 참고하고 차용한 만큼, 페미니즘 연구자도 공간적 사유를 적극적으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 때의 사유는 하나의 스케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며, 특히 나는 하위 스케일로서의 ‘몸’을 살피는 작업을 강조하고 싶다. 인간은 분명 몸, 도시, 국가, 지구 등 무수히 교차하는 물질세계에 위치해있으며, 인식론적으로도 교차하는 다양한 구조와 행위자들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 글은 여성주의와 공간적 사유가 어떻게 상호 참조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대해 상상해본 것이다. 또 다른 제안이 있다면 누구든지 이 글에 응답해주길 바란다.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신지연

광주에서 나고 자랐고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연구를 전공했다. 여성청년들의 이주 실천과 모빌리티에 대한 연구로 석사 과정을 마쳤고, “공간주의"를 공동 개설했다. 여성주의와 글로벌리제이션, 인터아시아 연구에 관심이 있어 왔고, 서울에서 외지인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여전히) 고민 중에 있다. 아시아 음악과 드라마를 좋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