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장가연 (2021). 경성시대: 부재하는 역사 위 혼란의 교차로. 이승빈·김영대·신지연 (편), 〈잡종도시서울〉(pp. 65-98). 서울: 공간주의의 일부분입니다. 글의 전문 및 인용은 해당 서지정보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어느 순간부터 경성시대라는 거북스러운 용어가 눈을 괴롭히기 시작했다. 경성은 과거의 특정 도시공간을 일컫는 명사이기에 시대를 칭하는 단어와 함께 올 수 없는데? 해석해보자면 서울이 경성이었던 시대인데, 일제시대의 경성이라고 칭하면 될 것을 간략하게 줄이게 된 편리함은 역시 한국인답다. 물론 일제시대가 아니라 일제강점기다. 어느 날 트위터의 타임라인에서 “경성” 컨셉 사진과 2차 창작이 한둘씩 보이기 시작하더니 곧 인스타그램에도 나타났다. 마치 동네 스튜디오에서 가족사진을 찍듯, 같은 구도와 포즈로 말갛고 어여쁜 여성들이 피드의 칸칸을 차지하고 있었다. 익선동과 전주한옥마을을 찍고 2019년도에는 롯데월드까지 진출한 경성시대와 컨셉사진은 일제강점기 미화에 다이쇼 로망이라는 욕을 거하게 먹고는 유행이 지나서인지 어째 선지는 모르겠지만 2020년에 와서는 코로나와 함께 피드에서 사라져버렸다.

체화되어 인증샷의 형태로 나타난 경성시대는 역덕스러운 이름의 가진 판타지 유행이다. 이것은 한국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엄마가 80년대에 혼수로 해온 레이스 에이프런이나 서초동 아파트 거실의 포트메리온 그릇과 복제 반고흐 그림, 롯데캐슬 정문의 요상한 코린트식 오더, 젊은 남자 방 인테리어의 뜬금없는 영국 국기나 런던 타워의 흑백사진에도 그 편린이 있다. 한국 사회에 유럽이라는 환상은 누추하지 않은 도피처이고 편리하게 욕망을 투영할 수 있는 타인의 과거다. 다만 2019년 즈음에는 경성시대의 형식으로 체화되어 나타났다고 추정한다.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장가연

건축과 철학을 공부했다. 건축은 훌륭한 텍스트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가장 일상적인 공간에 대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