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장가연 (2021). 경성시대: 부재하는 역사 위 혼란의 교차로. 이승빈·김영대·신지연 (편), 〈잡종도시서울〉(pp. 65-98). 서울: 공간주의의 일부분입니다. 글의 전문 및 인용은 해당 서지정보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게다가 경성을 완벽히 재현하라고 경성시대 유행에 요구할 수 없다. 어쩌면 요구해서는 안 될지도 모른다. 이는 강한 트라우마로 해리성 기억상실을 겪은 사람에게 과거를 기억하라는 요구와 비슷하다. 서울은 복잡한 과거사를 가진 도시이며, 그 과거 또한 멀끔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고향 집 근처에는 여관이 하나 있다. 어릴 적 가끔 해바라기 하는 멋쟁이 문인 할아버지들이 앉아 있는 곳이다. 여관이 마주한 골목 끝에는 다방이 하나 있었는데 그 다방 마담이 최고가는 부자랬다. 이중섭이 커피 값 대신에 그림을 선물했다고, 그런 가쉽이 들리는 곳이었다. 시간이 지나며 도시의 중심이 이동했고 그 구역은 쇠퇴했다. 어느날 그 여관 앞에 여기가 김상옥 생가라는 판이 하나 생겼다. 상가는 하나 둘 비더니 이제는 남아있는 곳이 더 적어졌다. 그곳이 이제 근대문화구역으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최근 듣게 되었다. 이제 도시재개발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곳에도 경성 컨셉 사진관이 들어설까?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장가연

건축과 철학을 공부했다. 건축은 훌륭한 텍스트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가장 일상적인 공간에 대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