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이승빈 (2021). 도시 사이의 잡종적 파편들: 접힌 세부구역과 모빌리티 인프라. 이승빈·김영대·신지연 (편), 〈잡종도시서울〉(pp. 101-183). 서울: 공간주의의 일부분입니다. 글의 전문 및 인용은 해당 서지정보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의 잡종성, 보다 많이 담론화된 (그렇기에 실질적으로 상이한) 개념으로 도시의 다양성. 도시의 강점 내지는 어바니즘의 근거로 흔히 제시되는 개념이다. 도시 일반에 관한 도식적 정의는 도시가 밀도와 다양성이 만나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밀도는 흔히 도시의 건설정도와 ‘인간’의 밀도로 제시된다. 한편 다양성은 여러 종류의 수많은 도시 실체들(정주인구와 유동인구, 도시 서비스와 인프라스트럭처, 기술지역적 네트워크 등)의 혼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다양성과 밀도는 도시 낙관론자들로부터는 도시승리의 지표로서 제시되며, 낙관론자가 아닌 이들에게도 현대도시 역학의 중요한 분석적 변화요인이나 정치적 변혁조건으로서 배치되는 요소이다.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이처럼 ‘빨간버스’는 서울의 ‘관계 끊기’와 ‘선별적 관계잇기’의 정치를 보여주는 파편의 하나이다. 물론 이들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지방자치제도는 그 제도적 장치이자 매개 수단이었다. 겹쳐진 도시세부구역의 지대를 만들어낸 서울의 확장사에 더해, 실질적으로 중심도시의 작동에 기여하는 대도시권의 통근구조에 있어서도, 중심도시의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선택적 활용은 그 중심도시만의 (도시상상계의 차원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이해타산적 지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도시권의 중심도시로서 서울이 “주변 도시”를 포함한 이른바 ‘서울 대도시권’에 기대고 있는바─이 잡종적으로 구성된 대도시권에 있어 기댐 관계는 어느 한쪽의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며, 애초에 일방향적으로 성립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빨간버스’라는 파편에서 드러나는 서울의 ‘관계 끊기’와 ‘선별적 관계잇기’의 정치는 그 자체로 딜레마가 된다.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이승빈

도시계획과 문화연구를 각각 전공했고, 박사과정에서 두 영역의 관계(맺기)를 고민하고 있다. 플랫폼 공간주의를 구상·기획했고, 좋은 동료들과 함께 관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