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자이자 도시계획가인 리처드 세넷은 <짓기와 거주하기: 도시를 위한 윤리>(Sennett, 2018/2020)에서 두터운 논의를 맺는 주장의 하나로 도시공동제작을 제안했다. 그가 일련의 참여적 계획이론 사조를 거리적 지식 활용의 문제와 접합함으로써 일정한 극단으로 밀어붙인 개념인 ─ 그러나 일단의 인본적 공동체주의자들이 계획(가)의 존재와 의의를 온전히 부정하는 것과는 엄격하게 구분되어야 할 ─ 도시공동제작은 협의-거버넌스를 넘어서는 만들기의 계획-연대 정도로 거칠게 요약된다. 이 지면에서 먼저 밝히고 싶은 것은 이와 같은 도시공동제작의 논의가 “잡종도시서울”을 진행하고 있는 플랫폼 공간주의의 시작점에 있어서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우리가 앞서 “공간주의 구상  1안”을 통해 목적이자 성패여부로 제시한 ‘조각모음’의 비유는 공동제작의 차원에서 각각의 작업자 및 작업물을 연대의 자원으로 축적하고, 그 일정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 그리고 그것을 매개하는 ─ 형식의 공간이자 장소(이를 우리는 플랫폼으로 지칭했다)를 만들고자 했던 우리의 지향에 관한 표현이었다.

각각의 실험에게는 일정한 자율성이 제공된다. 우리는 어떠한 잡종적 존재에 관한 잡종적 접근을 권장하고 또한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우리가 앞서 살핀 것처럼 잡종적 세계와 행위자들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 균일한 접근은 쉽게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잡종도시서울”은 참여자들에게 이곳의 잡종적 행위자들을 부각하기 위한 각기 잡종적인 조사, 매체, 형식, 방식, 기술, 관점, 스케일 등등의 활용을 권장하고 지원한다─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대안적이거나 급진적인 것일 필요는 없다. 기존의 방식으로 잡종적 존재를 바라보는 실험 역시 흥미로울 수 있다. 각각의 이야기가 완전히 맺어지지 않더라도 괜찮다. 그리고 뒤이어 우리는 각기 불완전한 잡종적 실험의 조각들을 모아본다. 각각의 실험들이 모인다면 일정한 이야기가 구성된다─따라서 각각의 실험들 사이의 서사적 배열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즉, “잡종도시서울”의 향후 계획은 각기 불완전한 잡종적 조각들을 만들고, 모으고, 이를 통해 이야기를 조직하는 것이다. 각각의 잡종적 조각들이 모여 만든 세계의 이야기들, 특히 제작자로서 잡종적 행위자의 역량에 관한 이야기들은 (마치 세넷의 도시공동제작에 있어 거리적 지식의 이야기로서의 속성이 중요했던 것처럼) 서울-도시의 잡종성을 위한 공동제작의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글의 전체 버전을 읽어 보십시오. «



이승빈

대학과 대학원에서 도시계획과 문화연구를 전공했고, 박사과정에서 이들의 관계맺기를 고민 중이다. 도시공간의 경계와 재구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를 마치고 “공간주의”를 공동개설했다. 공간문화의 다중적 구성, 수도권 안팎의 경계들, 그리고 반려견과의 산책길에 관심을 갖고 있다.